Research Articl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30 October 2020. 414-426
https://doi.org/10.22696/jkiaebs.20200035

ABSTRACT


MAIN

  • 서 론

  • 연구방법

  •   조사대상

  •   조사 내용

  •   분석 방법

  • 결과 및 고찰

  •   다중이용시설별 이용특성

  •   실내공기질에 대한 인식

  •   다중이용시설별 실내공기질의 실태

  •   실내공기질 공개정보의 요구범위 및 정보제공 방법

  • 결 론

서 론

“실내공기질 관리법”에서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을 유지·관리하기 위해 다중이용시설의 종류와 연면적에 따라 실내공기질의 유지 및 권고기준을 달리하고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20). 또한, 실내공기오염에 의한 다중이용시설 이용자들의 건강 위해성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Yeo et al., 2008), 실내공기질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측정망을 설치 및 운영하고, 실내공기질 관리현황을 보고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06년부터 환국환경공단은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하여 실내공기질 관리 종합정보망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센서 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Kwon et al., 2009; Oh et al., 2015; Lee, 2020). 특히, Kwon et al. (2009)은 환기설비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지하역사의 공기질을 관리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연구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 및 요구사항을 고려한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게다가 실내공기질의 개선을 위해 거주자 또는 시설이용자를 대상으로 실내공기질의 실태조사 및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가 다수 수행되고 있다(Park et al., 2010; Choi and Ko, 2013; Park et al., 2017). Choi and Ko (2013)는 실내공기질 인식과 관리행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공동주택 거주자의 실내공기질에 대한 관심도는 높으나 관리방법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며, 정확한 정보전달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Park et al. (2017)은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의 실태와 관리현황에 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앞서 언급한 연구들은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실태와 관리현황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공동주택 거주자에 관한 요구분석 연구는 수행된 사례가 있으나,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정보제공을 위한 시설이용자의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무선 센서로부터 측정된 실내공기질을 수집하여 제공하고 있지만, 이용자의 요구가 반영되지 않거나 홍보 부족 및 낮은 접근성으로 인해(Lee, 2019) 실내공기질 정보가 제공되고 있음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다중이용시설 중 어린이집과 노인요양시설의 경우, 건강 취약계층이 생활하는 시설이며(Seong et al., 2012), 지하역사 또는 지하도 상가와 같은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은 이용자의 이동경로가 다양하고,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가 활동하는 공간이다(Yim et al., 2014). 따라서, 시설별 이용자가 요구하는 실내공기질 정보가 상이할 것으로 판단되며, 시설이용자의 요구가 반영된 실내공기질 정보제공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중이용시설 중 어린이집과 노인요양시설,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의 시설이용자를 대상으로 실내공기질의 실태 및 실내공기질 정보공개의 요구범위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실내공기질 정보활용을 위한 시설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설이용자의 요구분석을 통해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정보제공기술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정보제공에 대한 시설이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기 위하여, 건강취약계층이 주로 사용하는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과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내공기질에 대한 인식, 실태 및 공개정보의 요구범위 등 4개의 설문항목으로 분류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대상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또는 경기도에 있는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및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을 이용하는 시설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어린이집은 학부모, 노인요양시설은 면회인과 간병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고 지하복합시설은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므로 시설이용자를 특정하지 않았다. Table 1은 설문조사 개요를 나타낸다. 이용자 164명에게 설문지가 배포되었으며, 161명에게 회수하였다. 이용자 수는 어린이집(44명), 노인요양시설(41명), 지하복합시설(76명)이다.

Table 1.

Overview of the survey

Survey Overview
Mode Online survey (Multiple response, 5-point Likert scales (some questions))
Target Facility users of the daycare centers, elderly care centers,
and underground complex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i-do
Period October 22, 2019 ~ October 29, 2019
Sampled 164 persons
Responded 161 persons (44 for daycare centers, 41 for elderly care centers, 76 for underground complexes)

조사 내용

Table 2는 설문조사 항목 및 세부 문항을 나타낸다. 설문조사 항목은 시설이용자가 요구하는 실내공기질 정보의 공개범위 및 정보제공 방법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내공기질에 대한 인식과 실내공기질 관리에 관한 의견 등을 조사항목에 포함하였다. 또한, 다중이용시설의 방문 빈도, 재실 시간 및 재실 공간에 대한 항목을 구성하여 시설이용의 현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Table 2.

Survey questionnaire design

Category Objective Detailed question
Facility usage pattern To identify users' general
pattern of facility utilization
- Visit frequency
- Stay time and location
Cognition on indoor
air quality
To analyze users' cognition level on IAQ - Importance of IAQ
- Willingness to visit facilities upon IAQ
- IAQ info. acquisition route
- Response to improve IAQ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To understand IAQ management level in facility - User satisfaction and trust on IAQ
- Evaluation of IAQ in the facility
- Main reasons of indoor air pollution
- Most concerned space in terms of IAQ
Preferred IAQ information To analyze the detailed needs of users for IAQ information delivery - Availability of IAQ info in the facility
- Pollutant types required for IAQ info. delivery
- Space types required for IAQ info. delivery
- Preferred IAQ info. update interval and route

분석 방법

설문조사 결과는 SPSS 20.0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설문항목별 응답 결과는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일부 문항에 대해 5점 척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응답 결과에 대해 시설별 상호 비교·평가를 수행하였다.

결과 및 고찰

다중이용시설별 이용특성

Figure 1은 이용자의 시설별 방문 빈도를 나타낸다.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및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의 이용자는 1년 동안 각각 평균 79회, 21회, 13회 방문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Figure 2는 시설에 방문하였을 때, 시설에 머무는 시간을 나타낸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0-014-05/N0280140505/images/Figure_KIAEBS_14_5_05_F1.jpg
Figure 1.

Yearly average number of visits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0-014-05/N0280140505/images/Figure_KIAEBS_14_5_05_F2.jpg
Figure 2.

Average stay hours per a visit

어린이집의 경우 1시간 미만(65.9%), 노인요양시설의 경우 1~2시간(48.8%),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의 경우 2~4시간(43.4%) 머무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처럼 어린이집의 방문 빈도(평균 79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머무는 시간은 비교적 짧게 나타났다. 이는 설문에 응답한 시설이용자가 학부모이고, 방문 시 가장 오래 머문 장소 1순위가 ‘로비(68.2%)’인 것으로 보아 주로 어린이의 등·하원을 위해 시설에 방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노인요양시설 및 지하복합시설의 방문 빈도는 어린이집에 비해 적게 나타났지만, Figure 3과 같이 방문 시 가장 오래 머문 장소 1순위가 각각 ‘4인실(36.6%)’, ‘상업시설(77.6%)’인 것으로 보아 두 시설은 병문안 또는 쇼핑 등의 목적으로 시설에 장시간 재실함에 따라 실내공기질에 대한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0-014-05/N0280140505/images/Figure_KIAEBS_14_5_05_F3.jpg
Figure 3.

Results for the question: “Where is the space you spent the most time in the facility?”

실내공기질에 대한 인식

Figure 4와 Figure 5는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의 중요도와 시설 방문 시 실내공기질이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응답자의 94.4%가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가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응답자의 79.5%가 실내공기질이 다중이용시설을 방문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실내공기질의 건강 위해에 대한 우려(Choi and Hong, 2014)와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 및 밀폐된 지하공간에 의한 공기환경이 건강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Yeo et al., 2008), 시설이용에 실내공기질이 민감하게 작용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0-014-05/N0280140505/images/Figure_KIAEBS_14_5_05_F4.jpg
Figure 4.

Results for the question: “Do you think improving IAQ in the facility is important?”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0-014-05/N0280140505/images/Figure_KIAEBS_14_5_05_F5.jpg
Figure 5.

Results for the question: “Does IAQ level in the facility influence your willingness to visit next time?”

Table 3은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정보획득 경로에 대해 다중응답처리를 한 결과이다. 단일응답 시 응답자의 36.6%가 정보획득 경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중응답 시 47.2%의 응답자가 PC 또는 모바일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Results for the question: “How do you obtain the IAQ information”

Route Respondents (%) (Multiple response)
1st priority within 3rd priority
All Elderly Care Facility Daycare Center Underground Complex
None 36.6 53.7 20.5 36.8 36.6
Internet (PC, Mobile) 21.7 12.2 15.9 30.3 47.2
Acquaintance 19.9 24.4 38.6 6.6 37.9
TV 11.8 0.0 6.8 21.1 28.0
Brochures of government 6.2 4.9 15.9 1.3 18.6
Publications 3.7 4.9 2.3 3.9 18.6
Etc (Relevant Facility) 0.0 0.0 0.0 0.0 0.6

이는 시설이용자가 실내공기질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지만,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정보의 제공 및 획득경로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특히, 노인요양시설의 경우 실내공기질 정보획득 경로가 ‘없음’으로 답변한 응답자의 비율이 53.7%로 높게 나타나 해당 시설에서 실내공기질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거나, 시설이용자는 실내공기질 정보획득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어린이집의 경우 ‘주변 사람’을 통해 실내공기질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자의 비율이 38.6%로 높게 나타나, 학부모 사이에서 형성된 소규모 커뮤니티(Kim and Lee, 2013)에서 실내공기질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Table 4는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의 개선을 위해 필요한 방법을 보여준다. 응답자의 46%가 ‘공기청정기의 설치’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환기설비의 설치 및 개선’에 대해서는 35.4%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관리우수시설의 인증’ 과 ‘건축자재의 변경’에 비해 ‘식물 녹화’의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식물을 활용한 실내공기질 개선에 대한 시설이용자의 평가가 긍정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Table 4.

Results for the question: “What technology do you need to improve IAQ”

Methods Respondents (%) (Multiple response)
1st priority within 3rd priority
Installation of Air Cleaners 46.0 85.1
Installation and Improvement of Ventilation Units 35.4 76.4
IAQ Accreditation for facilities 6.8 28.6
Vegetation 6.2 42.9
Replace of Building Materials 3.7 39.8
None 1.9 1.9

다중이용시설별 실내공기질의 실태

Table 5는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 오염도와 시설이용자의 실내공기질 만족도에 대해 5점 척도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실내공기 오염도의 응답 결과가 5점에 가까울수록 방문한 시설의 실내공기에 대해 이용자가 깨끗하다고 평가한 것이며, 실내공기질 만족도의 응답 결과가 5점에 가까울수록 실내공기에 대해 만족한 것으로 평가된다.

Table 5.

Results for the question: "What do you think the air pollution level in the facility and are you satisfied with that?"

Multi-use Facilities 5-point scale
Contamination Satisfaction
Elderly Care Facility 2.88 2.80
Daycare Center 3.25 3.32
Underground Complex 2.28 2.61
All 2.70 2.85

시설별 실내공기 오염도는 노인요양시설(2.88점), 어린이집(3.25점), 대규모 지하복합시설(2.28점)로 나타났으며, 다른 시설에 비해 어린이집의 실내공기 오염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내공기 만족도는 노인요양시설(2.80점), 어린이집(3.32점), 대규모 지하복합시설(2.61점)로 나타났다. 시설의 오염도와 만족도에 대한 이용자의 응답이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어린이집의 실내공기질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Figure 6은 시설이용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실내공기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내공기오염의 주원인에 대한 이용자의 응답 결과를 보여준다. 노인요양시설(48.8%)과 대규모 지하복합시설(64.5%)의 경우 ‘환기 부족’을 오염원으로 응답하였으며, 어린이집의 경우 ‘외부환경의 오염(38.6%)’을 실내공기의 주 오염원으로 응답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0-014-05/N0280140505/images/Figure_KIAEBS_14_5_05_F6.jpg
Figure 6.

Results for the question: “What do you think about main reasons for poor IAQ”

노인요양시설과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의 시설이용자는 실내공기오염의 주원인을 ‘환기 부족’으로 응답하였으나, 앞서 실내공기질의 개선을 위한 방법에 대해서는 이용자의 46.0%가 ‘공기청정기 설치’ 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환기설비의 설치 및 개선’은 35.4%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시설이용자가 실내공기질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공기청정기를 활용하는 것이 익숙하여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Figure 7은 시설이용자가 시설을 이용하였을 때, 시설별 실내공기의 오염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판단하는 장소에 대한 응답결과를 나타낸다. 노인요양시설의 경우 시설이용자의 48.8%가 ‘병실’이 실내공기의 오염 가능성이 가장 클 것이라고 평가하였으며, 어린이집의 경우 ‘조리실, 식당’(31.8%)과 ‘놀이실’(29.5%)의 순서로 나타났다.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은 ‘지하상가 등 상업시설’(38.2%)와 ‘주차장’(26.3%)으로 응답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0-014-05/N0280140505/images/Figure_KIAEBS_14_5_05_F7.jpg
Figure 7.

Results for the question: “Where is the most concerned space in the facility in terms of poor IAQ?”

노인요양시설의 경우, 한정된 공간 내에 여러 명의 환자가 장기간 생활(Choi, 2017)하고 노인 기저귀와 약물섭취로부터 발생하는 냄새(Yang et al., 2010)와 환기부족(Song et al., 2019) 등의 요인에 의해, ‘병실’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어린이집의 경우, 조리와 어린이의 활동에 의해 ‘조리실과 식당’과 ‘놀이실’의 응답자의 수가 가장 많았다.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의 경우, 일부 지하도 상가가 연계된 시설에 쇼핑을 위해 방문한 시설이용자가 장시간 체류하며, 주차장이 연결된 시설로 인해 ‘지하상가 등 상업시설’과 ‘주차장’의 응답 비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8은 방문하는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실내공기질 정보제공 여부에 대한 응답을 나타낸다. 응답자의 8.7%만이 ‘정보제공이 되고 있다’라고 응답하였으며, 42.2%가 ‘정보제공이 되고 있지 않다’, 49.1%가 ‘모른다’라고 응답하였다. 이는 90% 이상의 시설이용자가 해당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정보제공이 없거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나, 시설을 이용하는 동안 실내공기질의 오염 정도를 인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정보제공이 되고 있다’라고 응답한 14명(8.7%)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해당 시설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형태, 제공되는 정보의 관심도 및 신뢰도에 관하여 질문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0-014-05/N0280140505/images/Figure_KIAEBS_14_5_05_F8.jpg
Figure 8.

Results for the question: “Is the IAQ information provided in the facility?”

Figure 9는 방문하는 다중이용시설에서 제공되는 실내공기질 정보 형태에 대한 이용자의 다중응답 결과를 보여준다. 실내공기질 정보제공의 형태로 5가지를 제시하여 중복으로 선택한 결과, ‘미세먼지 신호등(64.3%)’, ‘실내공기질 전광판(42.9%)’, ‘모바일 어플리케이션(28.6%)’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중이용시설에서 시설이용자가 실내공기질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0-014-05/N0280140505/images/Figure_KIAEBS_14_5_05_F9.jpg
Figure 9.

Results for the question: “How is the IAQ information provided?”

Table 6은 제공되는 실내공기질 정보에 대한 관심도 및 신뢰도에 대해 5점 척도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응답 결과가 5점에 가까울수록 제공되는 실내공기질 정보에 대한 이용자의 관심도와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실내공기질에 대한 관심도(4.14점)는 높게 나타났으며, 제공하는 정보의 신뢰도(3.79점)는 대체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Interests and trusts of facility users on IAQ information

Multi-use Facilities 5-point scale
Interests on IAQ info. Trusts on IAQ info.
Elderly Care Facility 4.50 4.00
Daycare Center 4.00 3.75
Underground Complex 4.25 3.75
All 4.14 3.79

실내공기질 공개정보의 요구범위 및 정보제공 방법

공개정보의 범위 및 정보제공 방법에 대한 시설별 이용자의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보제공 시 알고 싶은 오염물질 정보, 시설 내 공간 중 실내공기질 정보를 요구하는 공간, 정보 업데이트 주기, 정보제공 방법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오염물질에 대한 응답항목은 총 10개를 제시하였으며, 시설이용자에게 오염물질 항목을 1, 2, 3순위로 차례대로 3개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응답항목은 8개의 오염물질(미세먼지(PM1, PM2.5, PM10), 라돈(Rn),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폼알데하이드(HCHO), 이산화질소(NO2), 총부유세균, 곰팡이)과 ‘전체’, ‘잘 모르겠다’로 구성되었다.

Table 7은 오염물질에 대한 다중응답 처리결과를 나타낸다. 시설이용자가 요구하는 오염물질 정보는 미세먼지>라돈>일산화탄소>전체>곰팡이>이산화탄소>폼알데하이드>총부유세균>이산화질소>잘 모르겠다의 순서로 나타났다.

Table 7.

Pollutants of interest by facility users (Multiple response) Respondents (%)

Pollutants Multi-use Facilities (within 3rd priority)
All Elderly Care Facility Daycare Center Underground Complex
PM1, PM2.5, PM10 108 (67.1) 23 (56.1) 33 (75.0) 52 (68.4)
Radon (Rn) 45 (28.0) 11 (26.8) 18 (40.9) 16 (21.1)
CO 40 (24.8) 7 (17.1) 5 (11.4) 28 (36.8)
CO2 33 (20.5) 7 (17.1) 10 (22.7) 16 (21.1)
HCHO 32 (19.9) 7 (17.1) 9 (20.5) 16 (21.1)
NO2 13 (8.1) 3 (7.3) 4 (9.1) 6 (7.9)
Total Suspended Bacteria 14 (8.7) 5 (12.2) 2 (4.5) 7 (9.2)
Mold 36 (22.4) 16 (39.0) 12 (27.3) 8 (10.5)
All 36 (22.4) 10 (24.4) 8 (18.2) 18 (23.7)
Don't know 8 (5.0) 2 (4.9) 2 (4.5) 4 (5.3)

특히, 모든 시설에서 미세먼지(PM1, PM2.5, PM10) 농도 제공의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라돈 및 8개 오염물질 정보 ‘전체’를 요구하는 응답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으로 쟁점이 되는 오염물질(미세먼지, 라돈 등)에 관한 관심으로 인해, 해당 오염물질의 정보공개 요구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에서 ‘일산화탄소’ 정보에 대한 요구(36.8)가 다른 시설(어린이집: 11.4; 노인요양시설: 17.1)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하주차장이 연결된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에서 자동차 배기가스로부터 발생한 ‘일산화탄소’의 유입을 우려하여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추론된다.

Figure 10은 시설별 이용자가 실내공기질 정보가 공개되기를 희망하는 공간에 관한 결과를 나타낸다. 어린이집 및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의 경우, ‘전체’ 공간의 실내공기질 정보를 알고 싶다고 응답한 이용자의 비율이 각각 38.6%, 31.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0-014-05/N0280140505/images/Figure_KIAEBS_14_5_05_F10.jpg
Figure 10.

Results for the question: “Where do you want to know IAQ information most?”

특히,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의 61%가 ‘병실’의 실내공기질 정보가 공개되기를 희망하였다. 이는 앞서 분석한 결과와 같이, 노인요양시설의 이용자는 병문안을 목적으로 방문한 사람이 대부분이므로, 병실에서 장시간 생활하는 환자의 건강을 위해 ‘병실’의 실내공기질 정보제공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노인요양시설 및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의 이용자가 실내공기질 정보를 요구하는 공간의 설문조사 결과는 다중이용시설에서 가장 오래 재실하는 공간(Figure 3)에 관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반면에, 어린이집 시설이용자의 경우 가장 오래 재실하는 공간은 ‘로비’로 나타났으나, 실내공기질 정보를 요구하는 공간의 경우 어린이가 활동하는 ‘보육실’로 나타났다. 이는 설문조사에 응답한 어린이집의 시설이용자는 학부모로, 실제 시설에 장시간 재실하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보육실’의 정보공개 요구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과 Figure 12는 시설이용자가 희망하는 실내공기질 정보의 업데이트 적절 주기와 정보제공 주기의 결과를 나타낸다. 업데이트 주기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46.6%가 1시간마다 정보가 업데이트되기를 희망하였다. 어린이집 이용자의 43.2%,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의 이용자의 61.8%가 1시간마다 정보 업데이트를 희망하였으며,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의 39%는 3시간마다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것을 선호하였다. 실내공기질 정보의 제공 주기는 어린이집,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의 이용자가 시간별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요구하였고,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의 경우, 일별 정보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0-014-05/N0280140505/images/Figure_KIAEBS_14_5_05_F11.jpg
Figure 11.

Prefered IAQ information update interval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0-014-05/N0280140505/images/Figure_KIAEBS_14_5_05_F12.jpg
Figure 12.

Prefered IAQ information delivery interval

이에 따라, 노인요양시설의 이용자는 매시간별로 실내공기질 정보의 업데이트 및 제공을 요구하지 않으며, 시설별 이용자가 요구하는 정보의 주기가 다름을 알 수 있다.

Figure 13과 Table 8은 시설이용자가 요구하는 정보제공 방법에 대해 1순위 응답과 다중응답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정보제공 방법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시설현장에서 직접확인>모바일 알림(문자, SNS등)>시설홈페이지 순서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이용자의 경우 모바일을 활용한 정보제공 방법(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알림)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노인요양시설 및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의 경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시설현장에서 실내공기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0-014-05/N0280140505/images/Figure_KIAEBS_14_5_05_F13.jpg
Figure 13.

Preferred IAQ information delivery route (1st priority)

Table 8.

Survey results of the preferred information delivery routes No. of respondents (%)

Preferred information delivery routes Multi-use Facilities (within 3rd priority)
All Elderly Care Facility Underground Complex Daycare Center
Mobile applications 110 (68.3) 27 (65.9) 52 (68.4) 31 (70.5)
On site 101 (62.7) 26 (63.4) 53 (69.7) 22 (50.0)
Mobile alarm (SMS, SNS) 92 (57.1) 20 (48.8) 41 (53.9) 31 (70.5)
Facility webpage 71 (46.0) 25 (61.0) 31 (40.8) 18 (40.9)
Portal sites (Naver, Google, and etc) 1 (0.6) 0 (0) 1 (1.3) 0 (0)

이는 어린이집의 경우, 등원 후에는 학부모가 어린이와 함께 생활하지 않음에 따라 모바일을 활용하여 어린이가 재실하는 공간의 실내공기질을 확인하고자 하는 학부모의 요구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노인요양시설 및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의 경우, 시설 이용자가 시설에 장시간 재실함에 따라 시설현장에서 직접 실내공기질을 확인하거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방법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다중이용시설에서 수집되고 있는 실내공기질 정보를 효과적으로 시설이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시설이용자의 요구가 반영된 실내공기질 정보제공방안이 요구된다. 사용성이 높은 모바일의 선호도가 높으므로, 모바일과 함께 시설현장에서 실내공기질 정보를 확인할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시설별로 원하는 오염물질의 종류 및 정보제공의 주기 등이 다르므로 실내공기질 정보제공범위의 선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다중이용시설의 효율적인 실내공기질 정보활용 및 관리를 위하여, 실내공기질 정보제공에 관한 시설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설이용자의 79.5%가 실내공기질이 다중이용시설 방문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여 실내공기질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응답자의 8.7%만 방문하는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정보를 제공받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현재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정보의 홍보가 부족하고 접근성이 낮음을 시사한다.

(2) 또한, 전체 시설이용자의 47.8%가 실내공기오염의 주원인을 ‘환기부족’으로 응답함에 따라 시설이용자에게 시설의 환기설비 설치 유무 또는 시스템 작동에 따른 실내공기질에 대한 정보 등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3) 재실시간 및 빈도에 따라 요구하는 오염물질의 정보 및 제공방법이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대규모 지하복합시설에서 ‘일산화탄소’ 정보에 대한 요구(36.8%)가 다른 시설(어린이집: 11.4%; 노인요양시설: 17.1%)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효과적인 정보제공을 위한 시설 내 공간 및 오염물질의 선정이 요구된다.

(4) 다중응답 처리결과, 모바일을 활용한 정보제공 기술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현장에서 확인하는 방법이 2순위 선호방법으로 나타났다. 모바일과 함께 다중이용시설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정보제공 기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설 이용특성에 따라 실내공기질에 대한 요구가 다름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는 실내공기질 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이를 활용한 모바일/PC 기반의 실내공기질 정보제공기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실내공기질 정보제공의 접근성 및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향후, 시설관리자 및 지자체의 실내공기질 정보제공의 요구분석을 수행하여 효과적인 정보제공 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18년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번호 QLT-CRC- 18-02-KICT).

References

1
Choi, H.W. (2017). An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Patient Rooms of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in Seoul Cit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8), 751-762.
10.14257/AJMAHS.2017.08.18
2
Choi, Y.J., Ko, K.J. (2013). A Study on Seoul Citizens' Perception and Management Behavior of Indoor Air Quality in Homes. The Seoul Institute, 14(2), 131-144.
3
Kim, J.H., Lee, D.K. (2013). Process of Mother's Selecting a Nursery and Process of Forming a Trust.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12(1), 169-202.
4
Kwon, J.W., Kim, J.C., Kim, G.S., Kim, H. (2009).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using NDIR-CO2 Sensor for Underground Space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 System and Control, 46(4), 28-38.
5
Oh, C.S., Seo, M.S., Lee, J.H., Kim, S.H., Kim, Y.D., Park, H.J. (2015).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s in the IOT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 40(5), 886-891.
10.7840/kics.2015.40.5.886
6
Park, J.C., Choi, D.S., Kim, D.Y. (2010). A Study on the Survey of Indoor Air Quality in Library after Re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7(5), 628-633.
10.21086/ksles.2016.10.23.5.628
7
Park, S.M., Lee, H.S., Yang, Y.K., Lee, S.Y., Park, J.C. (2017). A Survey of the Indoor Air Quality in the Child Care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4(6), 733-743.
10.21086/ksles.2017.12.24.6.733
8
Seong, N.C., Hong, Y.S., Yoon, D.W. (2012). The Investigation of Indoor Air Contamination Levels in Daycare Facilities Focused on Uncontrolled in the capit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9(3), 305-316.
9
Yang, J.H., Kang, J.G., Seok, H.T., Seo, J.H. (2010). The Survey about the Indoor Air Quality related to a Smell and Thermal Comfort of the Healthcare Facilities for the Aged.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2(1), 131-138.
10
Yim, B., Lee, K., Kim, J., Hong, H., Kim, J., Jo, K.H., Jung, E., Kim, I., An, Y. (2014). Evaluation on Indoor Air Quality by Statistical Analysis of Indoor Air Pollutants Concentration in a Seoul Metropolitan Underground Railway S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0(3), 233-244.
10.5572/KOSAE.2014.30.3.233
11
Song, S., Yu, J.Y., Lee, Y.G. (2019). Analysis of indoor air qualit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ventilation systems for a daycare center and an elderly care facility. Proceedings of Winter Annual Conferenc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288-291.
12
Yeo, R.G., Kim, T.W., Hong, W.H. (2008).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ollutant in the Underground Commercial space on the Body. Proceedings of Conference of Korea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214-218.
13
Lee, S.Y. (2019). A Survey Study on Citizens' Perception of Fine Dust in the Seoul Metropolitian Subway and Its Countermeasure.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14
Lee, S.Y. (2020). Design & Implementation of IOT-based Monitoring System for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15
Choi, Y.J., Hong, J.S. (2014). A Study o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of Welfare Facilities in Seoul : Focusing on Day Nurseries and Senior Citizens Centers. Policy Research Report of The Seoul Institute, 1-167.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20). Indoor air quality control Act, Act No. 17326.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